this

this#

현재 실행 문맥을 가리킴

  • 실행 문맥은 함수 호출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.

런타임에 결정되는 this 의 장단점#

장점

  • 함수(메서드)를 하나만 만들어 여러 객체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.

단점

  • this 의 유연함이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.

전역 문맥#

엄격 모드 여부에 관계없이 전역 객체를 참조한다.

console.log(this === window); // true
a = 37;
console.log(window.a); // 37
this.b = "MDN";
console.log(window.b) // "MDN"
console.log(b) // "MDN"

함수 문맥#

함수 내부에서 this 는 함수 호출 방법에 결정된다.

함수 단순 호출#

비엄격모드#

function f1() { return this; }
// browser
f1() === window;
// Node.js
f1() === global;

엄격모드#

즉 함수를 객체의 메서드나 속성(window.f2())이 아닌 직접 호출했기 때문에 undefined 이다.

function f2() {
'use strict';
return this;
}
f2() === undefined;

call(), apply()#

this 의 대상 변경, this 값을 한 문맥에서 다른 문맥으로 넘길때 사용한다.

  • 첫 번째 인자객체가 전달 될 수 있으며 this 가 그 객체에 묶임.
var obj = { a: 'Custom' };
var a = 'Global'; // 전역
function whatsThis() {
return this.a; // 호출 방식에 따라 값이 달라짐
}
whatsThis(); // 초기 값을 global/window 객체로 초기값 설정
whatsThis.call(obj); // 함수 내에서 obj 로 설정
whatsThis.apply(obj); // 함수 내에서 obj 로 설정
함수호출 인수#
  • call 의 두번째 인수 부터 이어지는 인자
  • apply 의 두 번째 배열 인자
function add(c, d) {
return this.a + this.b + c + d;
}
var o = {a: 1, b: 3};
add.call(o, 5, 7);
add.apply(o, [10, 20]);

비엄격 모드에서 this 로 전달된 값이 객체가 아닌 경우, call apply 는 이를 객체로 변환합니다.

  • null undefined 값은 전역 객체가 된다.
  • 원시 값은 관련 생성자를 사용해 객체로 변환된다.
function bar() {
console.log(Object.prototype.toString.call(this))
}
function far() {
console.log(this)
}
bar.call(7); // [object Number] when far() Number {7}
bar.call('foo'); // [object String] when far() String {"foo"}
bar.call(undefined); // [object global] when far() Window {parent: Window, opener: null, top: Window, length: 1, frames: Window, …}

bind 메서드#

Function.prototype.bind

  • f.bind(someObject) 호출하면 this 는 원본 함수를 가진 새로운 함수를 생성한다.
  • 새 함수의 this호출방식과 상관없이 영구적인 bind()의 첫번째 매개변수로 고정된다. 즉, bind 는 한번만 동작한다.
function f() {
return this.a;
}
var g = f.bind({a: 'azerty'});
console.log(g()); // azerty
var h = g.bind({a: 'yoo' }); // bind는 한번만 동작한다.
console.log(h()); // azerty
var o = {a: 37, f: f, g: g, h: h};
console.log(o.a, o.f(), o.g(), o.h()); // 37, 37, azerty, azerty

함수 빌림#

함수는 객체를 바탕으로 작동한다.

빌릴함수.call(현재 객체)

함수.arguments#

유사 배열이므로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.

대신

Array.prototype.join.call(arguments)) 처럼 배열 메서드를 빌려쓸 수 있다.

프로퍼티 빌림#

자식 생성자 안에서 부모생성자의 프로퍼티를 가져오는것.

부모 생성자의 프로퍼티 실행 부모생성자.call(this, 부모 프로퍼티)

  •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는 동시에 객체를 자식 생성자의 객체의 this 로 설정

화살표 함수#

화살표 함수에서 this 는 자신을 감싼 정적 범위(lexical context) 이며, (생성시점) 전역 코드에서는 전역 객체를 가리킨다.

var globalObject = this;
var foo = (() => this);
console.log(foo() === globalObject); // true;

화살표 함수를 call, bind, apply 를 사용해 호출해도 무시된다.

var obj = { func: foo };
console.log(obj.func() === globalObject); // true;
console.log(foo.call(obj) === globalObject); // true;
foo = foo.bind(obj);
console.log(foo() === globalObject); // true

this 를 반환하는 화살표 메서드 bar 로 갖는 obj 객체.
obj.bar 에 할당된 익명함수 A 와, 화살표 함수로 생성된 익명함수 B가 있다면
B 함수가 호출될 때 B의 this 는 영구적으로 함수 A의 this 로 설정된다.

var obj = {
bar: function() {
var x = (() => this);
return x;
}
};

bar() 의 this 는 obj

var fn = obj.bar();
console.log(fn() === obj); // true

호출 없이 obj 메소드 참조

var fn2 = obj.bar;

화살표 함수의 this 를 bar 메서드 내부에서 호출하면 fn2의 this 를 따르므로 window 를 반환한다.

console.log(fn2()() === window); // true

객체의 메서드로서 함수#

익명함수는 o 객체의 프로퍼티에 할당된 메서드

var o = {
prop: 37,
f: function() {
return this.prop;
}
};

객체의 메서드로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의 this 값은 그 객체를 사용한다.

console.log(o.f()); // 37

var o = { prop: 37 };
function independent() {
return this.prop;
}
o.f = independent;
console.log(o.f()) // 37

가장 즉각적인 멤버 대상의 영향을 받는다. 실행동안 this 는 o.b 이다. o.b 의 prop 은 42.

o.b = {g: independent, prop: 42};
console.log(o.b.g()) // 42

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에서의 this#

메서드를 가짐 x, 프로토 타입으로 상속 받음 o

메서드가 어떤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위에 존재하면, this 의 값은 그 객체가 메서드를 가진 것 마냥 설정된다.

var o = {
f: function() { return this.a + this.b; }
}
var p = Object.create(o);
p.a = 1;
p.b = 4;
console.log(p.f()); // 5

변수 p에 할당된 객체는, f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, 프로토타입으로 부터 상속 받는다. p.f 를 찾아 참조하기 시작하므로, 함수 내부의 this 는 p 처럼 나타내는 객체 값을 취한다.

접근자와 설정자의 this#

함수의 접근자와 설정자 로 사용될 함수 sum 의 this

function sum() {
return this.a + this.b + this.c;
}

접근자 프로퍼티 설명자 get 사용된 average 함수

var o = {
a: 1,
b: 2,
c: 3,
get average() {
return (this.a + this.b + this.c) / 3;
}
};

접근자 프로퍼티 설명자 get 으로 사용된 sum 함수

Object.defineProperties(o, 'sum', {
get: sum, enumerable: true, configurable: true
});

접근자 프로퍼티 설명자(get, set) 의 함수의 this 는, 접근하거나 설정하는 속성을 가진 객체로 묶인다.

console.log(o.average, o.sum); // 2, 6

생성자로서 함수#

함수를 new 키워드와 함께 생성자로 사용하면 this새로 생긴 객체에 묶인다.

생성자의 반환 값#

  1. 객체가 아닌 경우에는, 기본값에 의해 참조되는 객체를 반환한다.
function C() {
this.a = 37;
}
var o = new C();
console.log(o.a); // 36
  1. 객체일 때, 다른 객체를 반환 할 수 있습니다.
function C2() {
this.a = 37;
return { a: 38 };
}
o = new C2();
console.log(o.a); // 38

DOM 이벤트 처리기로서 함수#

this이벤트를 발사한(시작된, 유발된) 요소로 설정된다.

  • addEventListener() 에서만 따르는 규칙.
// 처리기로 호출하면 관련 객체를 파랗게 만듦.
function bluify(e) {
// 항상 true
console.log(this === e.currentTarget);
// currentTarget과 target이 같은 객체면 true
console.log(this === e.target);
this.style.backgroundColor = '#A5D9F3';
}
// 문서 내 모든 요소의 목록
var elements = document.getElementsByTagName('*');
// 어떤 요소를 클릭하면 파랗게 변하도록 bluify 를 클릭 처리기로 등록
for (var i = 0; i < elements.length; i++) {
elements[i].addEventListener('click', bluify, false);
}

TODO 'EventListener와 target에 대한 내용은 이벤트 버블링에서 다룬다.'


this 는 window 객체아 가닌 body 객체가 된다. 이벤트 발생시 내부적으로 바뀌기 때문이다. 그러나 함수의 내부 함수의 this 는 다시 window 이다. 내부 함수의 this 를 외부 함수의 this 인 body 와 같게 하려면 내부함수를 화살표함수로 표현하면 된다. 혹은 this 를 외부함수의 변수로 저장하고 내부함수에서 스코프를 사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.

document.body.onclick = function () { this }

인라인 이벤트 핸들러에서 함수#

  1. 가장 바깥쪽 코드
    this 는 처리기를 배치한 DOM 요소로 설정된다.

경고창은 'button' 을 보여준다.

<button onclick="alert(this.tagName.toLowerCase());">
this 표시
</button>
  1. 내부함수 this
    IIFE 으로 실행된 함수의 this 는 전역/window 객체를 반환한다.(비엄격모드)
<button onclick="alert((function() { return this; })());">
내부 this 표시
</button>

객체 리터럴에서 this 사용하기#

this 의 값은 전체 함수가 된다. 코드 블록과 객체 리터럴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. 즉, ref: this함수의 현재 this 값을 가져온다.

function makeUser() {
return {
name: "John",
ref: this,
}
}

호출시점에 this 가 undefined 로 결정 되었다.
메서드로 호출 된 것이 아니라, 함수로써 호출 되었기 때문이다.

let user = makeUser();

this 가 undefined 이므로, 에러가 발생

alert(user.ref.name); // Error: Cannot read property 'name' of undefined

객체 리터럴을 사용하지 않은 this 도 같은 결과이다.

function makeUser() {
return this;
}
alert(makeUser().name); // Error: Cannot read property 'name' of undefined

user.ref() 가 메서드가 되고, this 는 앞의 객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.

function makeUser() {
return {
name: "John",
ref() {
return this;
}
}
}
let user = makeUser();
alert(user.ref().name) // John

계산기 만들기#

let calculator = {
sum () {
return this.a + this.b;
},
mul () {
return this.a * this.b;
},
read () {
this.a = + prompt();
this.b = + prompt();
}
};
calculator.read();
alert(calculator.sum());
alert(calculator.mul());

체이닝#

let ladder = {
step: 0,
up() {
this.step++;
return this;
},
down() {
this.step--;
return this;
},
showStep() {
alert(this.step);
return this;
}
}
ladder.up().up().down().up().down().showStep(); // 1
Last updated 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