당신의 조직에 새 방법론이 먹히지 않는 이유
#
치료자 효과설탕물을 먹이더라도, 뛰어난 의사에게 가는 경우에 치료 효과가 더 높다.
아이였을 때, 뉴욕주에서 심리치료를 받은 어른들을 조사했는데,
- 어떤 방법/기법으로 심리치료를 받았느냐, 어디에서 받았느냐 등은 결과와 관련이 없었다.
- 심리 치료를 한 사람이 누구였느냐가 중요했다.
어떤 기법을 사용하느냐는 통상 상담 결과의 분산에서 5% 이하만을 설명한다.
메뉴얼이 제공된 경우 치료의 효과 크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절반이다.
- 메뉴얼을 정확히 따르면서 명시된 단계를 끝내려다가 내담자의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단계를 마무리한 부작용이 생겼다.
우리는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.
- 어떤 기법이나 방법론이 말하고 있는 것은 극히 부분적이며 오로지 그것으로만 지도를 삼기에는 위험이 클 수 있다.
단순한 도메인
- "만약 ~하면 ~하라"
- 결과 예측이 가능한 분야.
복잡한 도메인
- 불확실성이 높음
- 사람의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이 많다.
- 복잡한 분야일 수록 특정 기법의 효과보다 치료자 효과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.
#
슈퍼슈링크슈퍼슈링크들을 찾고 그들을 연구하고 육성해야 한다. 이런 연구를 토대로 우리가 사용하는 기법과 방법론들을 더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.
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 우리가 어떤 방법론을 쓰느냐는 문제보다도,
누가 참여하는가가 훨씬 더 압도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까요
예를들어 애자일 방법론 도입을 원하는 팀장이라면 "나는 어떤 팀장인가"를 먼저 자문해봐야 하지 않을까요?